항공업계의 옛 영광, 허브-스포크는 여전히 유효한가?
“공항에서 환승 두 번은 여행이 아니라 퀘스트다.” 그렇게 농담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한때 허브-스포크 전략은 모든 항공사의 ‘정답 노트’였죠. 하지만 연료 효율 좋은 중형 장거리기와 LCC의 질주, 승객의 직항 사랑이 겹치며 게임의 규칙이 달라졌습니다. 그래도 허브는 정말 퇴장일까요?

1) 태초에 허브가 있었다: 거대한 바퀴의 탄생
규제 완화 이후 항공사는 생존을 위해 효율을 갈구했고, 허브-스포크는 그 답이었습니다. 작은 도시의 수요를 허브로 “모아 태우고(Feed)”, 큰 비행기로 멀리 “날려 보내는(Bank)” 구조죠. 좌석 점유율은 오르고, 단위 비용은 내려가고, 네트워크는 산뜻하게 정리됐습니다. 그 시절 노선도는 마치 자전거 바퀴—허브에서 사방으로 뻗은 스포크—그 자체였죠.
2) A380, 거대한 꿈이 남긴 유산
‘하늘 위 호텔’ A380은 허브-투-허브의 완전체였습니다. 에미레이트항공은 이 카드로 두바이를 세계의 환승 거실로 만들었죠. 다만 크기가 전략을 이기는 날은 오래가지 않았습니다. 환승 대기, 연결 지연, 공항 혼잡이 누적되자 승객은 “편도 인생엔 직항이 답”을 선택했습니다. A380의 퇴장은 허브-스포크의 쇠락이라기보다, ‘불편한 허브’의 퇴장에 가까웠습니다.
3) 점대점 모델의 화려한 귀환
보잉 787, 에어버스 A350 같은 연료 효율 좋은 중형 장거리기는 중규모 도시↔중규모 도시를 직결하며 판을 바꿨습니다. 환승을 생략한 시간이 곧 ‘고객 경험(UX)’이 되었고, LCC는 인기 노선에서 단순·빈번 운항으로 체감 가성비를 폭발시켰죠. 전통 대형사(FSC)는 프리미엄과 네트워크를 지키면서도, 선택적 직항+정교한 환승을 섞는 하이브리드로 진화했습니다.
4) 허브-스포크의 변신: ‘하드 허브’에서 ‘소프트 허브’로
오늘의 허브는 활주로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조인트 벤처(JV), 코드셰어, 공동 스케줄링 같은 소프트 허브가 네트워크를 보강합니다. 물리적 집중만 믿지 않고 데이터로 연결파를 설계해, “어디서 환승하든 내 여정은 한 항공사처럼” 느끼게 하죠. 대한항공-델타의 협업은 그런 교과서적인 사례입니다. 관건은 환승의 마찰을 얼마나 ‘제로에 가깝게’ 낮추느냐입니다.
5) 그래서 결론은? 허브는 죽지 않았다, 다만 더 영리해졌을 뿐
허브-스포크는 ‘유일한 해답’의 시대를 지나 유연한 도구 상자가 됐습니다. 수요가 흩어지고 고객이 직항을 사랑해도, 장거리 대량 수송·슬롯 제약·수요 변동성 대응에는 여전히 허브가 강력합니다. 다만 그 허브는 더 작게, 더 자주, 더 똑똑하게 돌아가야 합니다.
정리 & 업계 제언
-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최적화: 수요 탄력 높은 구간은 점대점, 변동성이 큰 구간은 허브 환승으로 커버하는 혼합 포트폴리오를 전제로 라우팅·기단·슬롯을 재설계하세요.
- ‘불편한 환승’ 제거: MCT(최소 환승시간) 단축, 수하물 우선 처리, IRROP(불규칙 운항) 자동 재배정을 앱 푸시/바우처까지 포함한 엔드-투-엔드 CX로 묶어야 합니다. 고객은 “환승해도 마음은 직항”을 원합니다.
- 소프트 허브 강화: JV/코드셰어를 운임·수하물·좌석 정책 통합까지 밀어붙이세요. 마일리지 적립·사용의 일관성이 직결 수요를 빨아옵니다.
- 기단 믹스의 민첩성: A321XLR 같은 장거리 협동체를 니치 직항 실험기로, 787/350은 플렉스 캐패시티로 활용해 계절·시간대별 수요에 맞춘 “세밀한 용량 곡선”을 그리세요.
- 데이터 기반 출발지-목적지(OD) 가격전략: 허브 경유/직항 간 총여정 효용가치(시간+편의+가격)를 모델링해, 고객이 체감하는 ‘최적점’을 가격과 스케줄로 정확히 제시해야 합니다.
- 공항과의 ‘운영 파트너십’: 슬롯/보딩브리지/보안검색 병목을 함께 풀어 허브의 체류 경험을 제품화하세요. 허브를 ‘거점’에서 ‘경험형 라운지’로 업그레이드하는 발상 전환이 필요합니다.
결국 질문은 하나입니다. “우리 고객이 직항을 선택할 때와 허브를 선택할 때, 무엇이 결정적 요인인가?”
정답은 항공사가 아니라 데이터와 경험이 쥐고 있습니다. 허브-스포크의 시대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더 가볍고, 더 세련된 모습으로 돌아올 차례입니다. 환승의 불편을 걷어내는 순간, 허브는 다시 ‘게임 체인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