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소식-한국의 여권 파워 그게 뭐? 외

x.com을 통해 공유된 뉴스를 정리해서 공유해 드립니다. MG Group의 한국진출, 트립어드바이저, 대한민국 여권파워 등에 관한 짧은 소식들입니다.

짧은 소식-한국의 여권 파워 그게 뭐? 외

얼마전 사모펀드에 인수되었다는 소식을 전했는데 역시나 자금이 들어오니 물들어올 때 노를 젓는 모양새입니다. 한국 인원 채용을 진행한다는 소식입니다. 일단은 숙소 소싱 쪽인 것으로 생각되는데 조만간 국내에 직접 API 연동을 위해 영업을 나서겠죠?

Tripadvisor가 많이 힘들긴 힘든가 봅니다. 그래도 한때 전세게 여행서비스 1등 트래픽을 자랑하던 곳인데 어느 순간 사용자들의 머리에서 삭제가 되어 버렸네요. 이제까지 잘 쌓아둔 데이터를 AI 기업에 팔기(?) 시작했다는 기사가 올라왔습니다. 이미 ChatGPT에는 팔고 있고, 이번 뉴스는 Perplexity 입니다.

그나저나 SKT를 쓰신다면 Perplecxit Pro 1년 무료 이벤트가 아직 진행 중인 것 같던데 한번 써보시죠. 솔직히 어지간한 내용은 travelbiztalk 보다 잘 나오더군요.

SKT 에이닷 & Perplexity
오직 SKT 고객만 누릴 수 있는 AI 혜택! Perplexity Pro를 1년간 무료로 이용하세요.

매년 대한민국의 여권 파워에 관한 뉴스가 나오는데, 상위권이라고 으쓱하게 하는 국뽕 넘치는 기사가 있죠. The Henley Passport Index 라는건데 이걸 뭐 기사화까지 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몇년째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여권의 힘이 곧 국가의 힘이라고 생각하면 곤란한게 미국은 겨우 9위라죠.

Read more

여행업의 미래, 'MICE'에 달려있다: 단순 알선에서 '경험 설계자'로

여행업의 미래, 'MICE'에 달려있다: 단순 알선에서 '경험 설계자'로

"MICE 산업." 이 단어를 들으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아마도 거대한 컨벤션 센터, 딱딱한 정장을 입은 사람들, 지루한 기업 회의 같은 이미지가 먼저 떠오를지 모릅니다. '굴뚝 없는 황금 산업'이라는 화려한 수식어가 따라붙지만, 솔직히 여행업을 하는 많은 분에게 MICE는 그저 '까다롭고 복잡한 대형 단체 손님' 정도로 여겨지진 않았나요?

By Demian
캄보디아 위기 해부: 지정학적 위험 심층 분석과 대한민국 여행 산업을 위한 새로운 로드맵

캄보디아 위기 해부: 지정학적 위험 심층 분석과 대한민국 여행 산업을 위한 새로운 로드맵

최근 캄보디아에서 불거진 일련의 사태는 단순히 치안이 무너진 표면적인 문제를 넘어섭니다. 이는 조직화된 범죄 산업과 지정학적 위험이 뒤섞인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위기임을 시사합니다. 언론이 비추지 못한 이면을 깊이 파고들어, 현재의 위협 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강제 노동을 노리는 표적형 조직범죄와 일반 관광객이 마주하는 일상적인 안보 환경 사이에 어떤 본질적인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합니다.

By Dem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