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소식-모두투어 임원인사, 온다의 UAE 진출 외

x.com을 통해 공유된 뉴스를 정리해서 공유해 드립니다. 모두투어의 임원승진인사와 온다의 UAE진출 본격화 뉴스가 눈에 들어오네요.

짧은 소식-모두투어 임원인사, 온다의 UAE 진출 외

모두투어의 임원 승진 인사, 대부분이 패키지의 상품성 강화에 힘을 실어주는 형태로 영업실적 하락에 대응하는 모양새이긴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봐도 미래지향적으로 보이지는 않으니 그것도 문제이긴 합니다.

꽤 오랜 시간 모두투어의 주가는 모두투어의 미래를 보여주고 있기도 합니다.

델타항공은 AI를 통해 항공여행이 미래에는 이렇게 바뀔거라는 이야기를 하긴 했지만 아직 먼 미래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 속단하긴 이르죠.

온다가 본격적으로 UAE에 진출한다고 합니다. 당연히 직접 가는게 아니고 합작법인이 활동을 시작했다는 소식인데요.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은 어떻게 잘 끄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티메프 사태를 통한 불똥에 구조조정과 사업 축소, 긴축 경영 상황에서 이 기사를 내는 이유는 투자유치를 위한 노력의 일환일까요?

지난해 12월 자금 조달이 쉽지 않다는 기사가 나온 것이 기억나는군요.

리픽싱에 발목잡힌 ‘온다’, 자금조달 가능할까 - 딜사이트
티메프 사태 후폭풍…시리즈B 브릿지·시리즈C 투자유치 추진

Read more

여행업의 미래, 'MICE'에 달려있다: 단순 알선에서 '경험 설계자'로

여행업의 미래, 'MICE'에 달려있다: 단순 알선에서 '경험 설계자'로

"MICE 산업." 이 단어를 들으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아마도 거대한 컨벤션 센터, 딱딱한 정장을 입은 사람들, 지루한 기업 회의 같은 이미지가 먼저 떠오를지 모릅니다. '굴뚝 없는 황금 산업'이라는 화려한 수식어가 따라붙지만, 솔직히 여행업을 하는 많은 분에게 MICE는 그저 '까다롭고 복잡한 대형 단체 손님' 정도로 여겨지진 않았나요?

By Demian
캄보디아 위기 해부: 지정학적 위험 심층 분석과 대한민국 여행 산업을 위한 새로운 로드맵

캄보디아 위기 해부: 지정학적 위험 심층 분석과 대한민국 여행 산업을 위한 새로운 로드맵

최근 캄보디아에서 불거진 일련의 사태는 단순히 치안이 무너진 표면적인 문제를 넘어섭니다. 이는 조직화된 범죄 산업과 지정학적 위험이 뒤섞인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위기임을 시사합니다. 언론이 비추지 못한 이면을 깊이 파고들어, 현재의 위협 구조를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강제 노동을 노리는 표적형 조직범죄와 일반 관광객이 마주하는 일상적인 안보 환경 사이에 어떤 본질적인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합니다.

By Dem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