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소식-모두투어 임원인사, 온다의 UAE 진출 외

x.com을 통해 공유된 뉴스를 정리해서 공유해 드립니다. 모두투어의 임원승진인사와 온다의 UAE진출 본격화 뉴스가 눈에 들어오네요.

짧은 소식-모두투어 임원인사, 온다의 UAE 진출 외

모두투어의 임원 승진 인사, 대부분이 패키지의 상품성 강화에 힘을 실어주는 형태로 영업실적 하락에 대응하는 모양새이긴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봐도 미래지향적으로 보이지는 않으니 그것도 문제이긴 합니다.

꽤 오랜 시간 모두투어의 주가는 모두투어의 미래를 보여주고 있기도 합니다.

델타항공은 AI를 통해 항공여행이 미래에는 이렇게 바뀔거라는 이야기를 하긴 했지만 아직 먼 미래의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 속단하긴 이르죠.

온다가 본격적으로 UAE에 진출한다고 합니다. 당연히 직접 가는게 아니고 합작법인이 활동을 시작했다는 소식인데요.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은 어떻게 잘 끄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티메프 사태를 통한 불똥에 구조조정과 사업 축소, 긴축 경영 상황에서 이 기사를 내는 이유는 투자유치를 위한 노력의 일환일까요?

지난해 12월 자금 조달이 쉽지 않다는 기사가 나온 것이 기억나는군요.

리픽싱에 발목잡힌 ‘온다’, 자금조달 가능할까 - 딜사이트
티메프 사태 후폭풍…시리즈B 브릿지·시리즈C 투자유치 추진

Read more

우리는 왜 여행사를 떠나지 못하는가: ‘전문성’이라는 아름다운 함정

우리는 왜 여행사를 떠나지 못하는가: ‘전문성’이라는 아름다운 함정

지난번 '여행업계 채용 대란'에 대한 글을 올린 후, 예상보다 많은 분들이 공감을 표해주셨다. 업계가 사람을 구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한 씁쓸한 인정이었다. 그런데 몇몇 메일은 내게 더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들어오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남아있는 사람들이 떠나지 못하는 것은 더 큰 비극 아닐까요?"

By Demian
여행사의 채용 시스템, 공채의 유산과 수시 채용의 그림자

여행사의 채용 시스템, 공채의 유산과 수시 채용의 그림자

최근 패키지여행의 성과가 저조해지면서 여행업계는 큰 위기에 봉착한다. 모두가 이 위기의 원인을 팬데믹 이후의 변화나 새로운 경쟁자의 등장에서 찾고 있다. 하지만 나는 다른 시각에서 이 문제를 바라본다. 과연 지금의 위기는 단순히 외부 환경 탓일까? 혹시 오랜 시간 동안 곪아온 '인사 적체'라는 내부적 문제 때문은 아닐까? 이 글은 그 질문에서 시작된다. 겉으로 드러난 위기 이면에 숨겨진 여행업계의 구조적 문제를 파헤쳐 본다.

By Dem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