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간 대표 여행서비스의 주가 변화

패키지 여행이 아닌 패키지 여행사와 자유여행이 아닌 온라인 자유여행 플랫폼 코로나 팬데믹 이후 5년의 변화를 아주 작은 영역, 주가 하나만 콕 찝어서 봅니다.

지난 5년간 대표 여행서비스의 주가 변화

대한민국 패키지 여행사의 주가 변화

코로나가 한창이던 2019년 11월 8일 기준 하나투어는 49,750원의 주가를 보였습니다. 5년간 최저가는 25,983원을 기록한 2020년 3월 20일이군요. 대부분의 국내 패키지 여행사의 5년간 최저가는 우연이겠지만 2020년 3월 20일 또는 3월 27일 이군요.

보기 쉽게 5년간의 대한민국 주요 상장 패키지 여행사의 주가 변화를 확인해보겠습니다. 대상은 하나투어, 모두투어, 노랑풍선, 참좋은여행입니다. 아래 그래프는 모두 네이버증권 서비스가 출처입니다.

하나투어의 지난 5년간 주가 변화
모두투어의 지난 5년간의 주가 변화
노랑풍선의 지난 5년간 주가 변화
참좋은여행의 지난 5년간 주가 변화

거의 비슷한 시기에 최저가를 기록하고 거의 유사한 시기에 최고가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중국의 비자면제 소식에 살짝 끝부분이 뾰족하게 오르기는 했지만 그래도 그간의 하락세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군요.

한눈에 비교해 봅시다

주요 대한민국 상장 여행사의 주가 변화를 구글 금융 서비스를 통해 2019년 11월 8일을 0%로 놓고 주가의 변화를 도식화 해보면 하나투어만이 약 3% 상승하였고 나머지 회사들은 다 하락 중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대표 여행사의 주가 비교, 출처는 구글 증권 서비스입니다.

글쎄요 특이한 점이 있다면 거의 유사한 그래프를 그리고 있긴 하지만 노랑풍선과 참좋은여행의 기복이 참 심하다는 점과 거의 상승 하락의 시기가 동기화 되어 있다는 것이 눈에 들어옵니다. 뭐 기복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비슷하게 움직이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겠죠.

패키지 여행사와 FIT 플랫폼

그렇다면 FIT라고 이야기 하는 자유여행 플랫폼과 주가를 비교해보면 어떨까요? 우리나라 패키지 여행의 대장주인 하나투어와 Booking Holdings, Expedia, Ctrip(이제는 트립닷컴)과 주가 변화를 확인해보겠습니다.

하나투어와 해외 플랫폼의 주가 비교, 출처는 구글 증권 서비스입니다.

같은 조건으로 놓고 4개 회사를 비교해보니 꽤 유사성이 보이기도 하고 다른 점도 보입니다.

그래서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거냐

demian 님의 글을 읽어보셨는지 모르겠군요.

패키지 여행은 어떻게 될까?
패키지 여행의 지난 날 1988년 이 전까지는 우리나라는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못한 나라였습니다. 그리고 1997년 IMF 사태와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를 버텨가며 생존했던 여행사들이 2010년대가 되어 그 꽃을 피우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여행사에서 일하던 시절에는 패키지 여행 시장이 매년 20% 이상씩 성장을 했습니다. 한 번 갈 사람이 두 번 가고, 두번 가던 사람이

주식의 가치는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 위험, 시장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정된다고 하죠.

하나투어, 모두투어로 대표되는 대한민국의 상장 여행사의 주가 변화와 FIT를 대표하는 부킹홀딩스, 익스피디아 등의 주가 변화에서 어떤 흐름이 보이시나요?

쓰고는 있는데 무슨 이야기를 하고 하려고 한 것인지 이젠 잘 모르겠습니다.

Read more

우리는 왜 여행사를 떠나지 못하는가: ‘전문성’이라는 아름다운 함정

우리는 왜 여행사를 떠나지 못하는가: ‘전문성’이라는 아름다운 함정

지난번 '여행업계 채용 대란'에 대한 글을 올린 후, 예상보다 많은 분들이 공감을 표해주셨다. 업계가 사람을 구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한 씁쓸한 인정이었다. 그런데 몇몇 메일은 내게 더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들어오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남아있는 사람들이 떠나지 못하는 것은 더 큰 비극 아닐까요?"

By Demian
여행사의 채용 시스템, 공채의 유산과 수시 채용의 그림자

여행사의 채용 시스템, 공채의 유산과 수시 채용의 그림자

최근 패키지여행의 성과가 저조해지면서 여행업계는 큰 위기에 봉착한다. 모두가 이 위기의 원인을 팬데믹 이후의 변화나 새로운 경쟁자의 등장에서 찾고 있다. 하지만 나는 다른 시각에서 이 문제를 바라본다. 과연 지금의 위기는 단순히 외부 환경 탓일까? 혹시 오랜 시간 동안 곪아온 '인사 적체'라는 내부적 문제 때문은 아닐까? 이 글은 그 질문에서 시작된다. 겉으로 드러난 위기 이면에 숨겨진 여행업계의 구조적 문제를 파헤쳐 본다.

By Demian